00) 인사
- 안녕하십니까 버스찾아조에서 개발한 실시간 셔틀버스트래커를 소개할 울산과학대학교 최승우라고 합니다.
01) 목차
- 발표는 작품의 개요 및 필요성, 작품의 이론 및 기술 현황,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, 향후 개발 방향 및 목표, Q&A로 진행될 예정입니다
02) 작품의 개요 및 필요성
- 우선 작품의 개요 및 필요성입니다.
- 저 및 교내 셔틀버스를 이용하는 재학생들의 의견을 종합해보았더니, 교내 셔틀버스 이용시 버스가 어디쯤 오고 있고, 이미 정류장을 지났는지 파악이 불가하며, Covid-19 이후로 셔틀버스 이용 인원이 많아지면서 탑승이 어려운 상황도 자주 발생하는 것을 파악하게 되었습니다
- 그래서 저희는 이 문제를 해결하고자 셔틀버스의 위치를 추적하고, 빈자리 정보를 실시간에 준하여 알릴 수 있는 시스템인 “버스트래커”를 개발하게 되었습니다
03) 작품의 이론 및 기술 현황
- 현재 보시는 모습이 버스트래커의 설계 아키텍쳐이며, 도커를 기반으로 서버를 구축하였고, web socket을 사용하여 IoT장비와 서버가 통신하며, 정보를 웹앱에 보이게 합니다.
- 또한 로그인시 구글 로그인을 사용하여 보다 편리한 로그인을 할 수 있습니다.
- 다음으로 버스트래커 IoT장비입니다. 현재는 GPS와 레이저 센서를 사용 중이며, GPS 센서를 사용하여 현재 버스의 GPS 좌표를, 레이저 센서를 사용하여 승객수의 카운팅을 집계합니다
- 다음은 현재 저희가 개발한 웹앱을 실제 안드로이드 및 iOS에서 실행하였을 때의 UI 디자인 모습이며, (실제 핸드폰에서 구동중인 앱을 보여주며) 현재 제 핸드폰에도 앱이 설치되어있으며, 화면비에 잘맞게 앱이 구동된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.
- 그래서 이 웹앱에는 관리자 페이지와 일반 유저로 권한을 나누며, 관리자 페이지에서는 버스 및 자리수 등록, 정류장을 등록하거나 삭제할 수 있으며, 유저는 그 정보를 웹앱에서 보면서, 본인의 셔틀버스가 어디쯤 오고 있고, 몇분이 남았으며, 몇명의 승객이 탑승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.
04)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
- 현재 셔틀버스 사용자에게 매일 달라지는 도착시간에 대한 불안감 해소뿐만 아니라 여러 교내, 사내 셔틀버스 및 어린이집 버스 등에 적용이 가능하며, 현재 울산과학대학교 측의 제안으로, 도입을 위해 관계자와 협의 진해중에 있습니다
- 또한 저희는 이 솔루션을 디벨롭하여 GPS 혹은 보안 솔루션 등의 물리적인 요소를 배제하여 소프트웨어만으로도 동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 중에 있습니다.
05) 향후 개발 방향 및 목표
- 향후에는 울산과학대학교 측에 현 시스템을 도입하여 데이터 및 피드백을 확보하고, 이를 바탕으로 기능을 추가하거나 변경할 예정이며